연구원 A의 수첩
구독하기
연구원 A 의 수첩 - 제 25호 (2월 셋째주)
2024. 2. 18.
연구원 A 의 수첩 - 제 25호 (2월 셋째주)
잘 안보이시나요?
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국산 하이브리드 소고기-쌀
이 식품은 쌀을 배양육의 성장 판 (scafford) 으로 사용합니다.
2/14 Matter 에 발표된 논문에서 연세대 연구진은 쌀을 배양육의 scafford 로 사용함
이는 쌀에 영양을 더해주는 이점이 있으며, 소고기 쌀은 표준 쌀보다 지방과 단백질 함량이 약간 더 높았다.
쇠고기-쌀은 식량이 부족한 지역 사회를 위한 보충제나 군대 식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가축 사육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음
현재는 미국과 싱가포르만 배양육 판매를 승인했음
어떤 연구일까?
쌀알의 다공성 틈새에서 소고기 세포를 직접 성장시키려고 했지만 세포가 곡물에 잘 적응하지 못했음
대신 연구자들은 생선 젤라틴과 널리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 미생물 transglutaminase에 쌀을 코팅하면 세포 부착과 성장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발견
조리되지 않은 쌀알에 젤라틴 첨가제 혼합물을 바르고 나서 곡물에 소 근육과 지방 세포를 심은 뒤 그런 약 일주일 동안 배양함
배양 기간이 끝난 뒤 쌀을 씻어서 찜
이러한 하이브리드 쌀 100g에는 지방이 0.01g, 단백질이 0.31g 더 많아 각각 7%와 9% 증가함
앞으로는?
현재는 하이브리드 쌀의 지방, 단백질 증가율이 미미한 수준
소고기 세포 수를 늘리면 영양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배양 조건이 관건이 될 것
상용화되는 경우 가격을 낮게 유지할 것을 목표로 함 이는 일반 쌀 가격과 비슷하고 소고기 보다는 훨씬 저렴한 수준일것
-
Park, S.
et al.
Matter
https://doi.org/10.1016/j.matt.2024.01.015
(2024).
CRISPR: RNA 편집 치료
유전 질환에 대한 RNA 편집 치료법이 최근 임상 시험 승인을 받았다.
RNA 편집을 기반으로 한 여러 치료법이 임상 시험에 들어갔거나 승인을 받았다.
RNA 편집 기술은 RNA의 서열을 변경하여 정상적인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한 돌연변이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함
RNA 편집은 또한 유익한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음
CRISPR 유전자 편집과 달리 RNA 편집은 유전자를 변경하지 않음
RNA 분자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영구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도 않음
어떤 치료법일까?
Wave Life Sciences는 폐와 간을 손상시킬 수 있는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AATD)이라는 유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단일 염기 편집을 연구하고 있음
이 질병은 오염된 공기나 기타 자극 물질을 흡입하여 발생하는 손상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간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인 AAT의 생성을 감소시킴
Wave의 제품은 AAT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를 수정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adenosine deaminase acting on RNA (ADAR) 효소가 각 mRNA 분자의 특정 문자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짧은 뉴클레오티드 사슬
이를 통해 정상적 단백질이 생성될 확률이 증가하며 임상시험 진행중
앞으로는?
RNA 기반 치료법의 잠재력은 유전질환에만 국한되지 않음
한국의 바이오 제약회사 회사 알즈노믹스(Rznomics) 는 간세포암종을 치료하기 위해 RNA 편집기를 테스트하고 있음
2022년 9월, 회사는 한국에서 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이를 국제적으로 확대할 계획
종양 세포에서 open mRNA를 절단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독소를 생성하는 단백질로 번역되는 RNA 서열을 삽입하도록 lybozyme 을 조작,
주변 암세포가 이들 세포와 접촉하면 독소가 퍼져 암세포의 죽음도 촉진되는 기술
앞으로는 더 다양한 질병에서 치료법이 개발될 것
-
https://doi.org/10.1038/d41586-024-00275-6
혈액 단백질을 통한 치매 조기 진단
최근 대규모 연구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 검사를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약 1,500개의 혈액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진단 전 최대 15년까지 치매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확인됨
영국 바이오뱅크(Biobank)에서 50,000명이 넘는 건강한 성인의 혈액 샘플을 검사했는데, 그 중 1,417명이 14년 동안 치매에 걸렸음
그들은 GFAP, NEFL, GDF15 및 LTBP2라는 네 가지 단백질의 높은 혈액 수치가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
늦은 치매 진단
WHO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5,5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치매를 앓고 있음
증상을 발견한 경우에만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고 그 시점에서 질병은 수년 동안 진행되었을 수 있음
저자들은 52,645명의 혈액 샘플에서 1,463개의 단백질을 검사함으로써 GFAP, NEFL, GDF15 및 LTBP2의 수준 증가가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
치매가 발생한 일부 참가자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 10년 전에 이러한 단백질의 혈중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남
최신 연구에 따르면 혈액 내 GFAP 수치가 높은 사람은 정상 수준의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 가능성이 2배 이상, 알츠하이머병 발병 가능성이 거의 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앞으로는?
이 연구는 치매 발병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식별하는 혈액 검사를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그러나 반복 실험을 통한 추가 검증이 필요함
질병 위험을 선별할 뿐만 아니라 질병 자체를 구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우선적으로 밝혀져야할 것
-
Guo, Y.
et al.
Nature Aging
https://doi.org/10.1038/s43587-023-00565-0
(2024).
연구원 A 의 이중생활
실험 끝나고 마시는 술 한잔보다 위안 되는 것은 없다.
실험과 칵테일 만들기는 한 끗 차이이다.
프로토콜에 따라 정량대로 재료를 넣고 섞으면 되는 칵테일에 오늘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
괴테의 희곡 제목에서 그 이름을 딴 '파우스트' 이다.
화이트 럼 30 ml
오버프루프 럼 30 ml
크림 드 카시스 15 ml
만드는 방법: stir
도수가 매우 강한 럼에 달달한 포도향이 나는 리큐르를 섞어 만드는 칵테일로 악마같은 달달한 맛에 현혹되어 마시다 보면 정신을 잃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조금 더 도수를 낮추기 위해 럼의 양을 줄이고 피치트리나 말리부를 곁들이기도 한다. bar 에서 도수가 제일 쎈데 맛있는 술을 먹고 싶다면 추천한다.
오늘 이야기 어떠셨나요?
의견 남기기 >
researchera.23@gmail.com
지난 호 다시보기
구독하기
공유하기
게시하기
Copyright by 연구원 A
수신거부
Unsubscribe
공유하기
연구원 A의 수첩
을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연구원 A 의 수첩 - 제 24호 (2월 첫째주)
2024. 2. 4.
다음 뉴스레터
연구원 A 의 수첩 - 제 26호 (3월 둘째주)
2024. 3. 10.
연구원 A의 수첩
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