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
같이 공부하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
롱 코비드 (long COVID) 치료법 임상시험 시작
미국 국립보건원 (NIH) 은 brain fog 와 수면 장애 같은 증상에 초점을 맞춰 롱 코비드 치료법에 대한 임상 2상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 SARS-CoV-2 바이러스의 체내 잔류 감소, brain fog 및 인지증상 완화, 수면의 질 개선 등 다양한 증상해결이 목표
- 각 임상시험 별 100~300 명의 환자가 참여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롱 코비드 종합연구
- 현재 진행중인 임상 시험 중 하나는 롱 코비드 증상 완화를 위해 항바이러스제 Paxlovid 의 장기 투여요법을 테스트하는 것
- 수면 촉진제, 멜라토닌 보충제, 면역 강화요법 등을 평가할 예정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
- 참가자 등록이 적음. 지금까지 2만 4,000명의 참가자가 모집되었으며 이는 작년 말까지 목표했던 4만 명에 미치지 못한 결과
- 미국 의회가 팬데믹 비상사태 종료를 선언한 이후 코로나19 에 대한 추가 투자에 관심을 보이지 않음
- 롱 코비드에 대한 향후 자금 지원이 불확실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장기 코로나19 환자들을 위해서 임상시험이 반드시 필요하며 치료와 예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한다.
- Stein, S. R. et al. Nature. 2022 |
|
|
유전자 조작으로 수컷파트너 없이도 번식이 가능하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암컷 동물이 수컷 파트너 없이도 번식 (parthenogenesis)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성공했다.
이런 연구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 성적 생식의 이점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 일부 농작물 해충이 parthenogenesis 를 채택하여 빠른 번식과 농작물 피해로 이어짐
- 해충이 parthenogenesis 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면 효과적인 해충 관리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됨
- Sperling, A. L., Fabian, D. K., Garrison, E. & Glover, D. M. Curr. Biol. 2023
- Wei, Y., Yang, C.-R. & Zhao, Z.-A. Proc. Natl Acad. Sci. 2022
|
|
|
아메리카 대륙에서 급증한 뎅기열, 원인은 무엇일까?
미주 지역에서 2023년 현재 300만 건 이상의 뎅기열 사례가 보고 되었다.
이는 1980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연간 뎅기열 발생률이다.
연구진은 기온 상승과 강우 패턴의 변화로 인해 뎅기열의 주요 매개체인 흰줄숲모기에게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 뎅기열은 네 가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움
- 뎅기열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이 없음 (올해 미주 지역에서 1,3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됨)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흰줄숲모기의 분포에 영향을 미쳐 많은 지역에서 뎅기열이 유행할 가능성을 높임
- 지구 기온 상승으로 뎅기열이 유행하는 계절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아짐
- 엘니뇨 현상은 뎅기열 전파를 증가시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 살충제, 트랩, 번식지 제거 등 뎅기열 전파를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시행되고 있음
- 인구의 면역력은 전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두 가지 뎅기열 백신이 승인되었지만 효능, 안전성 및 높은 가격때문에 사용이 제한적
- Codeco, C. T. et al. Lancet Reg. Health Am. 2022
- Van Wyk, H., Eisenberg, J. N. S. & Brouwer, A. F. PLoS Negl. Trop. Dis. 2023 |
|
|
Shutterstock
실험 끝나고 마시는 술 한잔보다 위안 되는 것은 없다.
사실, 랩에서 실험하는 과정과 칵테일 만들기는 한 끗 차이이다.
프로토콜에 따라 정량대로 재료를 넣고 섞으면 되는 칵테일에 오늘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
오늘은 요즘처럼 더운 여름날, 상큼하고 시원하게 마실 수 있는 칵테일을 소개한다.
1900년대 초, 영국 해군 외과의사 토마스 김렛이 괴혈병 예방을 위해 소개했다고 알려진,
문자그대로 송곳처럼 뾰족한 목공도구를 뜻하는 '김렛 (gimlet)' 이다.
- 드라이 진 (dry gin) 45 ml
- 라임주스 (lime juice) 15 ml
- 시럽 또는 설탕
- 라임 슬라이스
- 만드는 방법: Shaking
김렛은 송곳처럼 입안을 찌르는 강렬하고 상큼한 신 맛을 가진다.
매우 간단한 재료로 이뤄져있지만 여느 칵테일과 같이 만드는 사람에 따라 맛이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으니 김렛을 판매하는 바에 간다면 다른 곳과 비교하며 마셔보는 것도 재밌는 경험이 될 것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