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
노벨 생리의학상 microRNA
빅터 암브로스와 게리 루브쿤은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은 분자를 발견했다.
-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다세포 생물에서 유전자가 발현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작은 RNA 분자인 micro RNA를 발견한 두 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됨
- 매사추세츠 대학교 우스터 의대의 빅터 암브로스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게리 루브쿤은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노벨 위원회에서 수여하는 1,100만 스웨덴 크로나(100만 달러)의 상금을 공동 수상함
어떤 연구일까?
- 같은 그룹의 박사후 연구원이었던 암브로스와 루브쿤은 1993년에 첫 번째 주요 발견을 발표함
- 그들은 Caenorhabditis elegans 의 발달에 관여하는 lin-4 와 lin-14 라는 두 가지 유전자를 발견함
- 암브로스는 lin-4를 생성하는 유전자를 매핑하고 루브쿤은 처음에 lin-14 에 집중함
- 암브로스가 lin-4 유전자를 확인했을 때 , 그것이 단백질을 인코딩하지 않고 짧은 RNA 가닥을 생성하는 것을 발견
- 후에 마이크로 RNA라고 불리는 lin-4 RNA 가닥이 lin-14 메신저 RNA 의 stretch 에 부착되어 단백질의 생성을 막는다는 것을 발견
- 2000년 루브쿤의 팀이 인간, 쥐, 그리고 나머지 동물계 대부분에서 존재하는 또 다른 C. elegans microRNA를 발견함
- 돌연변이된 microRNA 인코딩 유전자를 가진 쥐 연구에서 microRNA가 발달, 생리학, 행동 및 기타 특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짐
앞으로는?
- microRNA 치료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연구자들은 이러한 주요 조절자를 질병을 식별하고 치료하는 데 활용하기를 희망
- 개발 중인 microRNA 약물이 있지만, RNA 분자를 세포에 전달하는 것이 핵심 과제인 상황
- Lee, R. C., Feinbaum, R. L. & Ambros, V. Cell 75, 843–854 (1993).
- Wightman, B., Ha, I. & Ruvkun, G. Cell 75, 855–862 (1993).
|
|
|
적게 먹으면 오래 살 수 있다
체중 감량과 대사 변화만으로는 식이 제한이 장수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
- 저칼로리 식단 또는 규칙적으로 단식을 한 약 1,000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러한 요법이 실제로 체중 감소와 관련된 대사 변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
- 그러나 면역 건강, 회복력의 유전학적, 생리적 지표를 포함한 다른 요인들이 칼로리 감소와 수명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보였음
어떤 연구일까?
- 연구자들은 다양한 개체군에서 추출한 유전적으로 별개의 개체인 960마리의 쥐의 건강과 수명을 모니터링함
- 일부 쥐는 칼로리 제한 식단을 섭취했고, 다른 그룹은 간헐적 단식 요법을 따랐으며, 다른 그룹은 자유롭게 먹도록 했음
- 칼로리를 40% 줄인 그룹에서 가장 긴 수명 증가를 보임, 간헐적 단식과 적정 칼로리 제한도 평균 수명을 늘렸음
- 이렇게 다이어트를 한 쥐는 체지방과 혈당 수치 감소와 같은 유리한 대사 변화도 보임
- 그러나 칼로리 제한 식단으로 가장 많은 체중을 감량한 쥐는 비교적 적은 양을 감량한 동물보다 더 일찍 죽는 경향이 있었음
- 이는 단순한 대사 조절을 넘어서는 과정이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
- 연구자들은 면역 건강과 적혈구 기능과 관련된 특성, 음식 섭취량 감소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력이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예측
앞으로는?
- 식이 제한을 통한 노화 방지 전략이 실제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말하려면 다른 지표들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
- 광범위한 인간 연구가 필요할 것
|
|
|
연구자 50%는 10년 이내에 과학을 그만둔다.
20년간 다양한 국가와 학문 분야에서 발행된 데이터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구를 그만둘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38개국에서 약 40만 명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그 중 3분의 1이 첫 논문을 쓴 지 5년 이내에 과학 분야를 그만두고, 거의 절반이 10년 이내에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남
- 이 연구에서는 인용 데이터베이스 Scopus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의 학술 출판 경력을 추적
-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출판을 중단할 가능성이 더 높았지만 이 차이의 크기는 학문 분야에 따라 달랐음
- 이는 과학계를 떠나는 사람들의 수를 정량화하려는 가장 큰 연구이며 이전 연구들은 범위가 제한적이었고, 주로 미국 과학자들에게 초점을 맞췄음
어떤 연구일까?
- 2000년에 출판을 시작한 과학자 142,776명(여성 52,115명 포함)과 2010년에 출판을 시작한 과학자 232,843명(여성 97,145명 포함) 두 그룹의 출판 경력을 추적함
- 과학자들은 미국, 일본, 한국 및 유럽 전역의 국가 출신으로, 16개 과학 분야에서 확인
- 5년 이내에 2000년대 그룹의 모든 과학자의 3분의 1이 출판을 중단
- 여성은 남성보다 5년 또는 10년 후에 과학을 그만둘 가능성이 약 12% 더 높았으며 2019년까지 이 그룹의 여성 중 29%만이 여전히 출판을 했고, 남성은 약 34%였음
- 2010년 그룹은 성별 격차가 더 좁았으며 여성의 약 41%, 남성의 약 42%가 첫 논문을 발표한 지 9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논문을 발표했음
- 특히 생물학 분야의 여성은 10년 후에 과학 분야를 그만둘 가능성이 58%였고, 남성은 49% 정도로 성별 격차가 가장 컸음
- 반면 물리학 분야 여성의 경우 10년 후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약 48%)은 남성(47%)과 거의 비슷했으며 수학, 공학,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도 성별 차이가 거의 없었음
앞으로는?
- 많은 경우 여성은 출판된 논문에서 공동 연구자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게재되는 출판물에서 대표성이 낮아 실제로 성별 격차가 출판 데이터가 시사하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지적
- 연구를 완전히 그만두는 것 외에도 과학자들이 출판을 중단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은 연구 중심이 아닌 곳, 산업계에서 일하거나 행정 역할로 전환하는 것 등
- 향후 연구에서 연구진은 대규모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자들이 그만두는 이유를 조사할 계획
|
|
|
실험 끝나고 마시는 술 한잔보다 위안 되는 것은 없다.
실험과 칵테일 만들기는 한 끗 차이이다.
프로토콜에 따라 정량대로 재료를 넣고 섞으면 되는 칵테일에 오늘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
모스크바의 노새라는 뜻의 '모스코뮬' 이다.
- 보드카 45 ml
- 라임주스 15 ml
- 진저에일
- 만드는 방법: build
구리로 만든 머그컵에 만들어 마시는 칵테일로 잘 알려져있다. 스파이시하고 쌉쌀한 생강향과 라임의 상큼함이 조화로운 칵테일이다. 도수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특유의 향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기 쉽다. 이름만 보면 러시아에서 만든 칵테일 같지만 미국에서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은 오사카 어느 바에서 마신 모스코 뮬. 생강을 인퓨징한 보드카를 사용해 매운맛이 강렬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