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바이오 연구원이 주목한 바이오 뉴스와 트렌드를 기록합니다.
함께 공부하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
AI 챗봇이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을까
챗봇은 망상적 믿음을 강화할 수 있으며, 드물지만 사용자가 정신병적 증상을 경험하기도 했다.
- 지난 몇 달 동안 생성적 인공지능(AI) 챗봇과 상호 작용한 후 현실과 비현실을 구별할 수 없게 되는 정신병을 앓는 사람들의 사례가 증가함
어떤 연구일까?
- 영국 연구진은 챗봇과의 대화가 피드백 루프에 빠질 수 있다고 제안함
- 피드백 루프에서 AI는 사용자가 언급한 편집증적 또는 망상적 신념을 강화하고,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신념이 챗봇의 반응을 좌우함
- 7월 2일 에 발표된 사전 출판물에서, 연구진은 다양한 수준의 편집증을 가진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챗봇 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사용자와 챗봇이 서로의 편집증적 신념을 강화하는 것을 발견함
앞으로는?
- 연구진은 정신 질환이나 편집증적 사고 경향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정신병과 챗봇 사용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의견
- 정신병 사례 보고에 따라 OpenAI는 4월 28일부터 업데이트를 롤백하기 시작했지만, 이 버전은 지난달 유료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되었음
- 또한, OpenAI는 ChatGPT가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대화를 완화하는 업데이트를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으며, 임상 정신과 전문의를 고용하여 자사 제품이 사용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음
- Morrin, H. et al. Preprint at PsyArXiv https://doi.org/10.31234/osf.io/cmy7n_v5 (2025).
|
|
|
그녀의 유전자와 생활 방식이 장수에 대해 말해주는 것
마리아 브란야스 모레라는 사망 당시 세계 최고령자였다. 과학자들은 그녀의 유전자, 신진대사 등을 분석했다.
- Cell Reports Medicine 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마리아 브라냐스 모레라는 유전적 행운과 매일 요구르트를 포함한 건강한 식단으로 117세까지 살았음
- 그녀는 2024년 8월 19일에 세상을 떠났는데, 당시 그녀는 세계 최고령자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노화 생물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음
어떤 연구일까?
- 연구진은 마와 브란야스녀의 가족을 여러 차례 만나면서 그녀의 혈액, 타액, 소변, 대변 샘플을 채취하여 유전학, 신진대사, 장내 미생물군을 포함한 그녀의 독특한 생리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음
- 연구진은 브란야스의 유전적, 대사적 특성 및 기타 특징을 동일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연령대 여성들의 특징과 비교함
- 연구팀은 브라냐스의 텔로미어 (염색체 끝부분을 보호하는 반복 DNA 가닥)가 매우 짧다는 사실을 발견
- 연구진은 브란야스의 유전체를 분석하는 동안 심혈관 질환, 인지 기능 저하,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적 변이를 발견한 반면,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특정 유해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음
- 또한 장수와 관련된 유전자를 찾았음
- 장수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생활 습관으로는 지중해식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이 있었음
|
|
|
세계 최초 AI 설계 바이러스
과학자들은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일관된 바이러스 genome 을 작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내성 박테리아 균주를 죽일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합성했다.
- 과학자들은 인공지능(AI)이 설계한 최초의 바이러스를 만들어냈으며, 이 바이러스는 대장균 ( E. coli ) 균주를 죽일 수 있다.
어떤 연구일까?
- 바이러스 유전체를 설계하기 위해 연구진은 DNA, RNA, 단백질 서열을 분석하고 생성하는 AI 모델인 Evo 1과 Evo 2 를 사용했음
- 먼저, AI 모델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유전체를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시작 서열인 설계 템플릿이 필요했음
- 연구진은 11개의 유전자에 5,386개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숙주를 감염시키고 숙주 내부에서 복제하는 데 필요한 모든 유전적 요소를 갖춘 단순한 단일 가닥 DNA 바이러스인 ΦX174를 선택했음
- Evo 모델은 이미 200만 개가 넘는 파지 게놈에 대해 학습을 마쳤지만, 연구진은 지도 학습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모델을 추가로 학습시켜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대장균 균주를 감염시키는 특정 기능을 가진 ΦX174 유사 바이러스 게놈을 생성음
- 연구진은 AI가 생성한 수천 개의 염기서열을 평가하여 302개의 생존 가능한 박테리오파지로 검색 범위를 좁혔음
- 대부분의 후보군은 ΦX174와 40%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동일성을 공유했지만, 일부는 완전히 다른 코딩 서열을 가지고 있었음
- 연구진은 AI가 설계한 유전체에서 DNA를 합성하여 숙주 박테리아에 삽입하여 파지를 배양 후 이 파지들이 대장균을 감염시키고 사멸시킬 수 있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
- AI가 설계한 302개의 박테리오파지 중 약 16개가 대장균 에 대해 숙주 특이성을 보였으며, 대장균을 감염시킬 수 있었음
앞으로는?
- Evo 모델만으로는 팀의 개입, 지도, 그리고 필터링 없이 바이러스를 설계하고 생성하기에 아직 충분하지 않음
- AI가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우려가 있음
- 연구진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고 박테리아 내성 문제를 포함한 공중 보건 문제를 해결하는 AI 설계 바이러스를 안전하게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음
|
|
|
|